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통합 교육에는 '여덟 개의 기본 목표'가 있다.

 

첫째, 학생들에게 보편적인 창조의 과정을 가르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둘째, 창조 과정에 필요한 직관적인 상상의 기술을 가르쳐야 한다.

셋째, 예술 과목과 과학 과목을 동등한 위치에 놓는 다학문적 교육을 수행해야 한다.

넷째, 혁신을 위해 공통의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교과목을 통합해야 한다.

다섯째, 한 과목에서 배운 것을 여러 분야에 응용할 수 있어야 한다.

여섯째, 과목 간의 경계를 성공적으로 허문 사람들의 경험을 활용해야 한다.

일곱째, 모든 과목에서 해당 개념들을 다양한 형태로 발표하는 법을 가르쳐야 한다.

여덟째, 상상력이 풍부한 만능인을 양성해야 한다.

 


 

 

 

 

우리는 어린아이들을 '전문 음악가'로 키우지 않는다.

'재능 교육'이란 '평생 교육'이기 때문이다.

- 일본 음악 교육가, 스즈키 신이치 (鈴木 鎭一)

 


 

 

"능동적 이해는 수동적 지식을 포섭해서 그 위에 스스로를 세우는 것이다."

 


 

 

"자신의 분야 밖에서 소통할 수 없는 전문가를 양성하는 교양 과목과 과학 과목은 아무 의미가 없다."

 


 

 

"교육의 목적은 모든 학생들이 화가이자 과학자로서, 음악가이자 수학자로서, 무용수와 공학자로서 사고하도록 도와주는 데 있다."

 


 

 

"한 가지 상상 기술이나 창조기법만으로는 사고에 필요한 모든 것을 충족시켜줄 수 없다."

 


 

소설가 올더스 헉슬리는 사망하기 얼마 전, 우리가 지금 알고 있는 것은 미래에 알 수 있고, 또 알게 될 것의 작은 부분에 지나지 않는다는 글을 남겼다.

 

 

 

 

정제된 과학 언어, 심지어는 더 선명하게 정제된 문학 언어는

결코 실존하는 세계(giveness of the world)에 적합하지 않다.

- 영국 작가, 올더스 헉슬리 (Aldous Huxley)

 


 

 

 

 

우리의 교육 내용을 보면 전문화라는 것이 학생들의 세세한 특성까지 고려하는 전문화가 아니라

교과를 정해놓고 그 안에서만 이루어지는 전문화라는 생각이 든다.

- 미국 생리학자, 챈들러 브룩스 (Chandler M. Brooks)

 


 

"한 가지 개념을 놓고 더 많은 방법으로 생각할수록 더 나은 통찰을 얻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사람들은 내가 문학과 수학을 동시에 연구한 것을 보면 놀랄 것이다.

수학을 제대로 배울 기회가 없었던 많은 사람들은 수학을 산수와 혼동해서 그것을 아주 무미건조하고 재미없는 과학으로 치부해버린다.

그러나 실제로 수학이야말로 최대한의 상상력을 요구하는 과학이다.

어느 위대한 수학자는 '영혼의 시인이 되지 않고서 수학자가 될 수 없다.'라고 말했다.

시인은 다른 사람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보아야 하며 다른 사람들보다 더 깊이 보아야 한다.

그것은 수학자도 마찬가지다.


- 러시아 수학자이자 시인, 소피아 코발레프스카야 (Со́фья Ковале́вская)

 


 

 

 

 

내 글을 읽으면서 독자들이 피곤해하지 않았다면, 그것은 전적으로 기하학 덕분이다.

기하학은 누군가의 사고를 이끌어주는 놀라운 스승과 같다.

뭔가 얽혀 있는 것을 풀어주고

중요치 않은 것들을 제거해 핵심만을 추출해주며

동요하는 것을 진정시켜주고

혼잡한 것을 걸러내어 명료하게 만들어준다.

기하학은 모든 수사법을 능가한다.

- 프랑스 시인, 장 앙리 파브르 (Jean-Henri Fabre)

 


 

최근의 연구결과들을 보면 직업에서의 성공 여부를 알려주는 지표는 IQ나 시험 점수 같은 것이 아니고 한 두 가지의 강도 높은 지적인 취미나 여가활동 여부였다.

 

그 취미 활동이란 그림 그리기, 작곡하기, 시 쓰기 등에서 컴퓨터 프로그래밍, 비디오 작품 제작, 수학 문제 풀기 등에 이르기까지 아주 다양하다.

 

이는 전문직 종사자들, 기업가, CEO, 화가, 학자, 연예인 등 모든 사람들에게 해당된다.

 


 

 

 

 

교양 있는 음악가라면 라파엘로의 마돈나 그림을 연구해야 하며, 화가라면 모차르트의 교향곡을 공부해야 한다.

그럼으로써 똑같은 이점을 얻게 된다.

더 나아가서 배우가 조각을 공부하면 동작의 틀이 잡힐 것이고 조각가가 연극에 대해 탐구하다 보면 그의 작품은 배우와 같은 생명을 갖게 될 것이다.

화가는 시를 그림으로 바꾸고 음악가는 그림에 음악성을 부여한다.

- 독일 작곡가, 로베르트 슈만 (Robert Schumann)

 


 

 

 

 

나는 음악과 미술에 대한 감수성과 애정이 정치인, 과학자, 사업가, 노동자를 막론하고 모든 사람들에게 아주 중요하다고 믿는다.

우리는 어린아이들을 전문음악가로 만들려고 가르치지는 않는다.

재능교육이란 평생교육이기 때문이다.

- 일본 음악 교육가, 스즈키 신이치 (鈴木 鎭一)

 


 

 

 

 

예술가, 다시 말해 창조하는 사람은 수학, 논리학, 물리학, 화학, 생물학, 유전학, 고생물학, 인문과학, 역사학을 망라한 다양한 분야의 식견과 창의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는 곧 만능이 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하지만 명심해야 할 것은 이 모든 것은 '형태와 구조'를 기반으로 두어야 하고 그것들을 지향해야 한다는 점이다.

- 그리스 작곡가이자 건축가, 이안니스 크세나키스 (Ιάννης Ξενάκης)

 


 

 

 

 

기능적인 훈련 하나만 받아서는 재미있고 유익한 삶을 살아갈 수 없다.

- 미국 전기공학자이자 발명가, 찰스 스타인메츠 (Charles Steinmetz)

 

 

아인슈타인과 스타인메츠

 

 

728x90
반응형